웹 서버 프로토콜(HTTP/SSL/SPDY/HTTP2) 전송 상태 확인하기

[ Akamai에서 HTTP/2가 지원되는 브라우저로 접속하여, HTTP/2의 속도 향상을 보여주는 장면. 실제 테스트가 필요하신 분들은 https://http2.akamai.com/demo 서 진행 가능합니다. ]

[ Akamai에서 HTTP/2가 지원되는 브라우저로 접속하여, HTTP/2의 속도 향상을 보여주는 장면.
실제 테스트가 필요하신 분들은 https://http2.akamai.com/demo 서 진행 가능합니다. ]

▶ 들어가며

웹서버를 구축하며 웹 서버의 보안 또는 HTTP 통신 프로토콜에 신경을 쓰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. HTTP(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칙; HTTP에 대해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시면 여기(나무위키)여기(위키피디아)를 참고하세요.)는 첫 상용화 버전인 HTTP/1.0의 발표 이후로 HTTP/1.1, 그리고 2015년 드디어 발표된 HTTP/2 까지 3 종류로 나뉩니다.

한편 HTTP의 변종 규약인 SPDY는 구글에서 제안한 HTTP 프로토콜로, 기존의 HTTP/1.1 상에서 작동하는 웹이 더욱 빠르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통신을 규정짓는 프로토콜 또한 존재합니다. 하지만 최근 구글은 SPDY 프로토콜의 대부분의 규칙들이 HTTP/2 안에 적용되어 있는 만큼, 2016년에 지원을 종료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

특히 최근에 제시된 HTTP/2 프로토콜은, 기존의 HTTP/1 및 HTTP/1.1에 비해서 더욱 빨라진 서버 응답 속도를 보여줍니다만, 실제 서버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본인의 웹 서버가 HTTP/2로 운영되고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겁니다. 따라서 오늘은 Google Chrome(구글 크롬)을 활용하여 웹 서버 프로토콜의 전송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.

 

 

 

▶ 준비물

1. 체크하고 싶은 웹 사이트 (여러분들의 서버 안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대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.)
2. Google Chrome 41 이상의 버전

 

 

 

▶ 사용 방법

1. Google Chrome에서 F12 또는 Ctrl + Shift + I를 눌러 개발자 도구(Development Tools)를 실행합니다.
Network 탭에 들어가면 네트워크 활동을 감지하기 위해 크롬이 준비합니다.
[ 구글 개발자 도구에서 Network 탭을 눌러, 트래킹을 시작합니다. ]

[ 구글 개발자 도구에서 Network 탭을 눌러, 트래킹을 시작합니다. ]

 

2. 측정하길 원하는 사이트(저는 제 블로그로 하였습니다.)에 접속하게 되면 크롬 개발자 도구가 전송을 추적하기 시작합니다.
[ 측정하길 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해, 트래킹을 기다립니다. ]

[ 측정하길 원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해, 트래킹을 기다립니다. ]

 

3. Name, Status, Type 등이 있는 이름 탭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Protocol 항목을 활성화 시켜 줍니다.
[ 이름 표시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, Protocol 이름 표시를 켜 줍니다. ]

[ 이름 표시줄에서 오른쪽 버튼을 눌러, Protocol 이름 표시를 켜 줍니다. ]

 

4. Protocol 항목에서 나오는 결과값을 통해 여러분들 웹 어플리케이션의 프로토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[ Protocol 항목에서 여러분들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통신 규약에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]

[ Protocol 항목에서 여러분들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통신 규약에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]

http/1.1: 오늘날의 웹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HTTP/1.1 프로토콜 통신입니다.

spdy/3: Google에서 제안한 SPDY/3 프로토콜(곧 사라질 예정)이며, 현재는 HTTP/2 버전에 적용되어 있는 규약입니다.

quic/1: 구글에서 2013년에 제안한 네트워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.

h2: 2015년에 확정난 새로운 HTTP 프로토콜인 HTTP/2 프로토콜입니다.

 

 

 

▶ 결론

Nginx나 Apache2에서 HTTP/2 또는 SSL을 적용시키고 나서 사이트에 제대로 적용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에게 좋은 팁이 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 아울러 CloudFlare 등의 DDNS 서비스를 활용하실 경우, HTTP/2 또는 SSL 보안 적용에 용이한 부분이 많으니, 관련 자료를 구글에서 참고하셔서 서비스를 이용해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.

앞으로 HTTP/2 프로토콜을 이용해 다양한 웹 환경이 구축될 예정이라고 하니, 여러분들 홈 페이지의 보안과 관련된 부분을 한 번쯤 돌아보실 기회가 되시리라고 생각합니다. ^^

gomgom

무엇을 하든 곰곰히 생각하는 곰곰입니다.

You may also like...

4 Responses

  1. sati 댓글:

  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.

  2. 행인 댓글:

    HTTP 정보에 대해 많이 알아갑니다
    감사합니다.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